현대의 국선도

국선도의 유래 수련의 목적과 특성
수련의 철학과 원리 현대의 국선도

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현대의 국선도
INFOTMATION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현대의 국선도
INFOTMATION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행수 :
    열수 :
    타입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사실 ‘단전호흡(丹田呼吸)’ 또는 ‘기(氣)’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정식으로 수련장을 열고 일반 대중을 상대로 수련 지도를 시작한 인물은 청산(靑山) 고경민(高庚民) 선사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전에도 물론 국내에 수련문화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수련이라는 용어 자체를 사용하지 않았을 뿐 호흡법 또는 조식법이라는 이름으로, 주로 산중의 이름 없는 스님들 사이에 개인적으로 전수되거나 알음알음으로 수련에 입문한 사람들이 있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국선도 밝돌법은 선도, 도, 풍류도, 현묘지도, 신선도 등으로 불리며 고조선과 삼국 시대를 거쳐 비전으로 전해오다 무운도인(無雲道人)의 대를 이은 청운도인(靑雲道人)으로부터 전수받은 청산선사(靑山仙師)가 1967년 하산하여 세상에 펼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1대 제자들과 함께 시범단을 구성하여 각종의 시범을 보이는 것으로 국선도 수련 홍보에 나섰다. 당시만 해도 기(氣)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사람이 많지 않아 수련과정에서 얻게 되는 경지를 간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현상으로 초인적인 능력을 보여준 것이다. 국선도 보급에 있어서 이러한 현실적인 이유와 고민은 청산선사의 어록에서도 잘 나타난다. 

시범단은 청산선사(靑山仙師)와 1대 제자들의 이름이 신력사[神力士 : 청원(靑元) 박진후(朴眞厚)], 태력산[太力山 : 청화(靑和) 김종무(金宗茂)], 철선녀[鐵扇女 : 청해(靑海) 김단화(金丹和)/후일 청와대 경호실 지도]이다.
68년 청산선사는 당시 내로라하는 차력사가 모두 참가한 민족정기 선양대회(회장 이갑성)에서 철화방(鐵火房 : 불 속에서 견디는 수련)을 보이는 등 초인적인 능력 시범을 보임으로 해서 이름을 얻었다.

이를 계기로 1970년 4월 20일(음력 3월15일) 단성사 부근의 팔진옥 4층에 최초의 수련장을 개설하였다. 초창기의 국선도는 한 곳에 정착할 수 없으리만치 여건이 미비하여 수련장을 응암동, 청계천으로 옮겨 다니다가 1971년에 종로 백궁 빌딩에 자리를 잡았다. 

청산선사(靑山仙師)는 몇 해에 걸쳐 TV, 신문, 잡지, 등을 통하여 전국 각 지역과 미국, 영국, 일본, 칠레 등지에 한국의 정통적인 국선도 단전행공법(丹田行功法)을 보급하였다.

청산선사(靑山仙師)는 국선도를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 전수하기 위해 제자를 양성함과 동시에 일반 국민들도 누구나 수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본원 개원을 필두로 전국 각 지역에 수련원을 확장하고 국외 지역에도 수련원을 확장하여 많은 사람들이 직접 몸과 마음으로 닦아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산중 수도인, 정치인, 군인, 학자, 경제인, 체육인, 일반인 등 각 분야에 제자를 양성하여 정통 국선도 단전행공법(丹田行功法)을 이 사회에 보급 전수하였다.
1980대에 들어오면서 각 신문사 문화센터, 정신문화연구원, 대학교 등지에 국선도 지도 법사를 파견하여 전국각지에 국선도를 보급, 전파하였다.

1985년부터는 육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의 전 생도를 대상으로 1년 동안 국선도 단전행공법(丹田行功法)을 지도하고 국회, 국방연구소 등 각 기관에 수련장을 열고 서울과 지방에 지원을 설치하였다. 

그 후 현재까지 경제기획원, 국방연구원,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공사, 한국교통개발연구원, 국회, 한국투자신탁, BC카드, 중소기업은행, 한국감정원, 삼성물산, 현대정공 등지에 국선도 연수장을 개원하여 수련 중이며 중앙문화센터, 한국문화센터, 동아문화센터, 진로문화센터, 현대문화센터, KBS문화센터에 국선도 단전호흡 강좌를 개설하여 보급하고 있다.
국선도라는 명칭사용은 71년에는 사회단체 정신도법 교육회였다가 1986년에 이르러 현재의 국선도법 연구회(사단법인)로 등록을 했다. 

본원 개원 직후인 70년대 초반까지 수련법 명칭은 정통의 심신 수련법인 정각도(正覺道)였다. 정각도라는 이름이 국선도로 바뀐 것은 70년대 중반이다. 

정각도는 국선도 수련의 기초 과정인데 그 다음단계인 통기법을 수련하는 이가 많아지면서 총괄하는 수련법의 명칭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2008년 10월, 청산 선사의 첫 제자인 청원(靑元) 박진후(朴眞厚) 선사에 의해 사단법인 국선도무예협회가 발족하면서 청산 선사의 가르침 이후 국선무예를 최초로 공개 전수하고 있다.
내외공을 겸비한 국선도 정통 수련의 맥을 되살리면서 도단 내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고 있는 국선도무예협회는 2009년 5월 국선무예 유단자 40여 명을 배출하면서 산중 수련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